전체 글
-
Ribbon Communications KoreaRibbon Communications 2022. 9. 12. 14:04
Ribbon Communications는 미국 나스닥 상장사입니다. 티커 네임은 RBBN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미국 텍사스 주에 있습니다. 총 임직원은 3천 700명이고 140여개국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약 1조의 매출을 올리는 회사입니다. Ribbon은 크게 Sonus Networks, GENBAND와 합병하여 2017년에 새롭게 태어난 기업입니다. Sonus와 Genband 뿐만 아니라 Nortel 및 Edgewater, Anova, ECI등 추후 지속적인 인수로 사업을 확장해오고 있습니다. Ribbon은 크게 두가지의 카테고리 제품으로 나눕니다. IP Optical Networking 및 Secure VoIP Communications입니다. 고객은 통신사와 기업고객으로 나눕니다. IP ..
-
AWS Private 5G 쪼개보기Cloud/AWS_Azure_GCP_IBM 2021. 12. 3. 14:37
AWS가 이번 2021 AWS Re:Invent에서 AWS Private 5G를 꺼내들었다. 'AWS'가 무엇인지 설명을 필요하지 않을 것이고. 우리가 이해해야 할 것은 'Private'과 '5G'이다. 기존 AWS는 Public Cloud로서 중앙처리 방식에 가까웠다 물론 여러 Region이 있지만... 대중이 AWS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을 네트워크로 보면 이렇다. Enterprise - 통신사 공용망 or 전용망 (둘다 모바일 망 아님) - internet - AWS. (AWS의 Direct Connect는 통신사 전용망으로 어차피 위의 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런 구조가 어떤 고객들에게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Private라는 이름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그 단점은 바로 Latency와..
-
5G Core Network 리서치 - 5G란3G_4G_5G/5G 2021. 8. 31. 14:37
5G Core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함양하자 5G는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구현한다. (1) 초광대역 서비스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 이건 얼마나 많은 양을 데이터를 전송가능한가이다. 4G 에서는 500Mbps의 속도라면, 5G에서는 20Gbps라는 건데 현재 3.5Ghz의 주파수로는 1Gbps정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주파수를 28GHz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충분한 Bandwidth를 확보할 수 있다.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2107200023 (2) 초저지연 통신 (URLLC: 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 Latency(통신 지연)은 쉽게 ..
-
Ribbon Connect (MS Teams Direct Routing as a Service) - Direct Routing 구독형 출시! 바밤!Ribbon Communications/Session Border controller 2021. 8. 18. 14:31
MS Direct Routing을 구현하는데는 제가 지난 블로그에서 포스트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기술들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독자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Cloud computing, SBC, SIP, TLS, DNS, TCP/IP, MS powershell 등과 같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공급사를 선정해서 진행을 해도 어느 정도 이해가 필요되긴 합니다. 하지만 작은 규모의 회사가 따로 운영을 위해 인력을 두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한 큰 규모의 회사는 그러한 인력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쉽게, 즉시 시작할 수 있고, SBC 운영의 부담을 지고 싶지 않은 요구를 위해 Ribbon Connect가 나왔습니다. 만약 Direct Routing이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로 가셔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
[MPLS] OSPF Super Backbone Area (2)Protocols/BGP_OSPF_MPLS_VPN 2021. 6. 23. 17:24
1. Super Backbone Area와 동시에 Area 0는 없애기. (Area0는 2개 이상은 Area가 있는 경우 반드시 있어야 함) 2. Area 0가 없는데 OSPF 정상작동 가능한가? R1 - R4 는 Area 1, R2 - R5 는 Area 2, R3 - R6 은 Area 3 R1, R2, R3은 Super Backbone Area에 속한 라우터 R4는 Area 1에 속해 있으며, 1.1.5.5와 1.1.6.6으로 Ping 가능 R4는 1.1.5.5, 1.1.6.6 모두 LSA type 3으로 광고받고 있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
-
[MPLS] OSPF Super Backbone Area (1)Protocols/BGP_OSPF_MPLS_VPN 2021. 6. 23. 13:25
1. OSPF의 VRF는 어떻게 사용하는가 2. SuperBackbone Area의 존재,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 Service Provider - EIGRP > LDP > MP-BGP(vpnv4), OSPF area 0 with CE Company1 - OSPF area 0 EIGRP와 RIP, BGP는 각 고객별 VRF를 각 해당 라우팅 프로세스 안에서 사용한다. router bgp 1 address-family ipv4 vrf company1 // bgp 1 프로세스 안에서 구별되는 고객별 VRF. redistribute ospf 1 match internal external 1 external 2 exit-address-family 하지만 OSPF는 하나의 Processor가 하나의 고객별 VRF..
-
[MPLS] IP/MPLS BasicsProtocols/BGP_OSPF_MPLS_VPN 2021. 6. 8. 16:19
1. OSPF Topolog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R1#show run | b router ospf 1 router ospf 1 router-id 1.1.1.1 network 1.1.1.1 0.0.0.0 area 0 network 1.1.12.1 0.0.0.0 area 0 network 1.1.14.1 0.0.0.0 area 0 R2#show run | b router ospf 1 router ospf 1 router-id 1.1.2.2 network 1.1.2.2 0.0.0.0 area 0 network 1.1.12.2 0.0.0.0 area 0 network 1.1.23.2 0.0.0.0 ar..
-
3GPP 문서 보는 TIP3G_4G_5G/3GPP 2021. 5. 12. 18:32
네트워크 일을 하면서 자주 보는 것이 표준이다. 근데 표준이라는 것이 엄청 다양하고 많다. IEEE, ETSI, 3GPP, IETF.... 그중에 자주 보는 것들 중에서 특히 3GPP를 먼저 어떻게 처음 접근할 때 편한지 공유하고 싶었다. 나처럼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고 맨땅에 헤딩하듯이 일을 시작하는 신입이 줄기를 바라는 마음이 크다. 3GPP 홈페이지에 가면 자신을 이렇게 소개한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는 "Organizational Partners"로 알려진 통신 표준 개발 조직(ARIB, ATIS, CCSA, ETSI, TTA, TTC)을 통합한다.' 그럼 ARIB, ATIS, 등등 얘네들은 뭔데? 세계의 무선 통신의 규약을 이끌고 있는 각 나라의 기관으로 보면 되겠다. 즉, 3GP..